식품명가 오뚜기가 13년만에 라면 가격 인상에 나섰다. 최근 밀가루, 팜유 같은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의 상승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라면 값 인상이 줄이을 수도 있어 서민살림에 주름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식회사 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가 8월 1일부로 진라면 등 주요 라면 가격을 평균 11.9% 인상한다고 밝혔다. 2008년 4월 이후 13년 4개월 만이다.

대표 제품인 진라면(순한맛/매운맛)은 684원에서 770원으로 12.6%, 스낵면이 606원에서 676원으로 11.6%, 육개장(용기면)이 838원에서 911원으로 8.7% 인상된다.

X
사진=오뚜기 제공


오뚜기 관계자는 "라면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설비 자동화, 원료 및 포장재 등의 원가 절감, 유틸리티 비용 절감 등 제품 가격 인상 억제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을 전개해 왔다"며, "그 결과 2008년 4월 라면 가격 인상 이후 13년간 라면 가격을 동결해 왔으나, 최근 밀가루, 팜유와 같은 식품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가격 인상에 대해 오뚜기는 단순히 원가 개선 목적만이 아닌 설비 투자 및 인원 충원 등을 통해 더욱더 좋은 품질개발과 생산으로 인류 식생활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오뚜기는 오뚜기 라면이 지금까지 좋은 품질과 가격 측면 혜택을 제공해 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가격은 물론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뚜기는 2008년 라면 제품군 가격을 인상한 이래 2010년에는 서민경제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취지에서 라면 제품군 가격을 최대 6.7% 전격 인하한 바 있다. 이후 가격 인상을 하지 않고 2021년 현재까지 13년간 라면 가격을 동결해 왔다

그동안 라면업계에서는 주요 원재료인 소맥과 팜유 가격 인상이 이어졌으나 소비자 저항을 우려해 섣불리 나서지 못했다. 한 업체가 총대를 메면 동종업계 가격인상이 뒤따르는 관례상 다른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라면업계 1위 농심은 2016년 12월 이후 5년째 제품 가격이 제자리다. 삼양식품도 2017년 5월 이후 라면값을 동결한 상태였다.